본문 바로가기

경제 칼럼16

6월 연준(Fed)의 금리 발표: 미국 금리의 영향 및 향후 전망 어제(6월 15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에서 기준 금리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Fed의 기준 금리 발표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요. 똑같은 기준 금리 발표를 해석하는 것도 시장과 경제 전문가들의 입장이 다양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것에 집중해야 하는지, 앞으로의 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6월 Fed(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 5.00~5.25% 유지 발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14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약 15개월간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렸던 연방준비제도는 이번 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한 겁니다. 연준(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만장일치로 기준 금리를 5.00~.. 2023. 6. 16.
미국 CPI(소비자 물가 지수) 발표: 시사점, FOMC 회의 및 향후 경제 전망 어제(13일) 밤 미국의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CPI(소비자물가지수) 지수의 발표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데요. 미국의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무엇인지와 지표 발표 결과, 그리고 이것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CPI(소비자물가지수)가 뭐야?] 소비자물가지수는 CPI(consumer price index) 라고 불리며 수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쉽게 말해 피부로 껴지는 물가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생필품이나 식당, 마트 같은 곳을 가서 느낄 수 있는 물가인 것이죠. CPI(소비자물가지수)는 가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상품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지수를 산정합니다. 여기에는 주거비, 식료.. 2023. 6. 14.
인덱스 펀드 투자를 위한 초보자 가이드: 신규 투자자를 위한 필승 전략 인덱스(Index) 펀드 투자에 관해서 들어보셨나요? 뭔가 주식에는 투자하고 싶은데 어떤 기업에 투자해야 될지 모르겠고, 투자가 막상 어렵기만 할 때 보다 편하게 선택하여 투자할 수 있는 것이 인덱스(Index) 펀드 투자인데요. 이 글에서는 초보자를 위한 훌륭한 투자 옵션인 인덱스(Index) 투자를 알아보겠습니다. 투자를 처음 시작하거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려는 경우 인덱스(Index) 펀드는 주식 시장의 성장에 참여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돼줄 겁니다. 제가 쉽게 인덱스(Index) 펀드가 뭔지 어떻게 투자해야 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인덱스 펀드가 뭔데? 인덱스(Index) 펀드는 미국의 S&P 500 또는 NASDAQ과 같은 특정 시장 지수의 성과를 통해 수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투자 펀.. 2023. 6. 13.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부상과 시사점: 21세기 업무를 재정의하다 최근 몇 년 동안 긱 이코노미(Gig Economy)는 사람들이 일과 소득 창출에 접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면서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습니다. MZ세대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프로 N잡러'등의 단어도 이 긱 이코노미(Gig Economy)와 깊은 연관이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긱 이코노미의 성장 이면에 있는 핵심 동인과 이를 정의하는 특성, 개인과 기업 및 전체 경제에 미치는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영향을 알아볼까 합니다.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이해: 새로운 일의 패러다임 1. 긱 이코노미(Gig Economy) 정의 긱 이코노미(Gig Economy)는 '임시직 위주로 돌아가는 경제'를 말합니다. 독립형 계약 근로자 즉, 프리랜서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경제 상황을 말하는 것이죠.. 2023. 6. 12.